러시아, 크름대교 보복하느라 미사일 재고 바닥난 듯

  • 문화일보
  • 입력 2022-10-16 19:30
  • 업데이트 2022-10-16 21:15
프린트
英 정보당국, “빠른 소비에 생산 못따라”…“장거리 타격 능력 저하로 이어져”

photo 러시아 대공 방어시스템 S-300 미사일. 뉴시스



러시아가 크름대교 폭발에 따른 보복 공습으로 80여 발의 미사일을 한꺼번에 투하하면서 장거리 미사일의 재고량이 바닥났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가디언에 따르면 영국 국방부는 16일(현지시간) 일일 정보분석 자료를 통해 러시아가 지난 10일 크름대교 폭발에 대한 보복 공습으로 우크라이나에 80발 이상의 미사일을 집중 발사했다면서 이렇게 분석했다. 러시아가 이번 대규모 공습으로 미사일을 소진하면서 향후 장거리 타격 능력이 현저히 저하될 것으로 영국 국방부는 진단했다. 러시아 방위산업 능력을 고려할 때 러시아군이 미사일을 빠르게 소비한 데 비해 첨단 미사일의 추가 생산 속도는 뒷받침되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지난 8일 러시아 본토와 크름반도를 잇는 유일한 연결로인 크름대교 폭발이 발생 직후 푸틴 대통령은 “크림대교 폭발은 우크라이나 특수부대가 배후인 테러 행위”라고 규정했다. 러시아군은 이틀 뒤인 10일 수도 키이우를 비롯해 14개 도시에 84발 이상의 순항미사일을 발사, 우크라이나 전국 주요 기반시설을 집중 파괴했다. 이 공습으로 최소 14명이 사망하고 97명 이상 부상을 당했다.

이 미사일 공습에는 러시아의 지대공 방어시스템 S-300의 요격 미사일을 공격용 지대지 미사일로 개조해 다량 투하한 것으로 서방은 판단하고 있다고 미 국방부 관리를 인용해 AP통신은 보도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대한 보복을 위해 정확도가 떨어지는 것을 감수하고 값비싼 S-300 미사일의 잔여 물량을 집중 동원했다는 것이다.

푸틴 대통령이 지난 14일 카자흐스탄 수도 아스타나에서 진행된 제6차 아시아교류 및 신뢰구축 정상회의(CICA) 기자회견에서 “더이상의 대규모 미사일 공격은 현재로선 불필요하다”고 언급한 것은 사실상 미사일 재고량이 부족하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박세영 기자 go@munhwa.com
박세영
주요뉴스
기사댓글
AD
count
AD
AD
AD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