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사 ‘블랙요원’ 실명까지 대거 유출

  • 문화일보
  • 입력 2024-07-30 11:56
  • 업데이트 2024-07-30 16:36
프린트

photo 국회 정보위 출석한 국정원장 조태용(가운데) 국가정보원장이 29일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 현안보고를 하기 위해 출석해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北·中 접경 요원들 귀국길 올라
北내부 소식통들 생사도 불투명


국군정보사령부 소속 군무원이 해외에서 신분을 위장해 활동하는 ‘블랙 요원’들의 ‘암호명(코드)’뿐 아니라 실명까지 해외에 대거 유출한 정황이 포착돼 파장이 커지고 있다. 북·중 접경지대 등 수십여 명의 해외 위장 요원들이 귀국길에 올랐고, 북한 내부 소식통들도 현재 생사가 불투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30일 군 당국에 따르면 국군 방첩사령부는 군무원 A 씨가 중국 동포에게 블랙 요원 리스트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실명 정보가 다수 유출된 것으로 보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정보기관 안팎에선 블랙 요원들의 실명 정보가 누출됐다면 첩보요원으로서 생명이 사실상 끊겼고, 대북 첩보망 연쇄 붕괴는 물론, 이들과 긴밀히 연결됐던 북한 내부 소식통들까지 대거 숙청·처형됐을 것으로 보고 있다.

군 당국의 수사 부실 우려도 커지고 있다. 방첩사는 지난달 사건을 인지한 뒤 A 씨에 대한 수사에 착수했지만, 전날에야 군사기밀보호법 위반 혐의로 구속영장이 청구됐다. 국가보안법 위반은 북한과의 연계성을 명확하게 확인하지 못해 혐의에서 뺀 것으로 전해졌다. 유동열 자유민주연구원장은 “문재인 정부에서 국가정보원의 대공수사권이 폐지됐고, 경찰은 손을 댈 수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김규태 기자, 정충신 선임기자
관련기사
주요뉴스
기사댓글
AD
count
AD
AD
AD
ADVERTISEMENT